개인 워크아웃 갚는 동안은 계속 신불자인가?

 신용회복위원회를 통해 개인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나면, 언제까지 신용불량자인지가 궁금한텐데,

특히 대출, 통신, 금융 서비스 등 일상생활에서 신용 제한이 걸리는 순간들이 생기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긴하다.

이번 글에서는 개인 워크아웃 중일 때 신용불량자(신불자)로 계속 분류되는지,
그 영향은 얼마나 지속되는지, 그리고 중간에 풀리는 시점이 있는지를 알아봤다.


핵심 요약

개인 워크아웃을 시작했다고 해서 곧바로 신불자가 풀리지는 않는다.
하지만 꾸준히 성실상환을 이어가면 신용등급(또는 신용점수)에 점진적인 회복이 생기며 신용정보 등록도 일부 해제되는 구조다.

즉, ‘처음엔 신불자 상태가 맞고, 시간이 지나며 점차 완화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왜 신불자로 남게 되는가?

개인 워크아웃은 채무불이행 상태에서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다. 이미 연체가 90일 이상 되었거나, 상환 불능 상태로 판단된 경우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도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이미 신용정보원에 ‘채무불이행’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정보는 신용회복이 시작되더라도 바로 삭제되지 않는다.

신용회복위원회나 금융기관이 해당 정보를 바로 없앨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도 회복되는 구간은 있다

그렇다고 해서 5년 내내 신용불량자로 살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일정 기간 이상을 성실하게 납부하면 금융권에서도 그 이력을 신용 판단 기준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개인 워크아웃 후 1년 이상 성실상환이 이어지면 휴대폰 요금 할부, 통신사 신용조회 통과, 체크카드 발급 같은 일상적인 신용거래는 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결론

구분개인 워크아웃 중 신용 상태
신청 직후채무불이행(신불자) 등록 유지
6개월 이후일부 금융거래 가능, 신용점수 회복 시작
1년 이후통신사, 보험, 할부 등 신용 제한 완화 가능성
3년 이후금융권 대출, 신용카드 발급 가능성 생김
물론 이건 그냥 보기 좋게 표로 정리해 본 거고,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점.

해제일로부터 5년뒤 기록 삭제된 다음부터야 서서히 정상적으로 신용점수가 오르고, 개인의 재무상태, 소득 등으로 달라진다는 점은 꼭 알아두자.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