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회복 중인 경우 민간 금융은 거의 막혀 있다.
이럴 때 서울시에서 예산을 지원하고 신용회복위원회가 운영하는 ‘한강론’ 같은 제도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운영 중인 '서울특별시 한강론'의 조건과 실제 내용을 정확히 정리해봤다.
핵심 요약
-
서울시가 예산을 출연하고, 신복위가 운영하는 긴급 자금 대출제도
-
신용회복 또는 개인회생 성실상환자 중 서울 거주 청년이면 신청 가능
-
최대 1,500만 원까지 연 3% 고정금리, 5년 분할상환
-
용도는 생활자금, 학자금, 고금리 대환, 창업·운영·시설 자금 등
구체적인 지원대상 조건
일단 기본 요건은 ‘서울시 거주 청년’이다.
여기서 말하는 청년은 만 40세 미만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 두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한다.
-
신용회복지원을 받고 있고, 6개월 이상 성실히 납부 중인 사람
또는 최근 3년 이내에 변제계획을 완료한 사람 -
법원의 개인회생 인가자 중,
12개월 이상 성실 상환 중이거나
3년 이내에 완제 완료한 경우 (면책 불허가자는 제외)
한도는 얼마나 나오나?
지원 대상에 따라 대출한도는 달라진다.
대상 | 대출한도 | 금리 | 상환기간 |
---|---|---|---|
신용회복 성실상환자 | 최대 1,500만 원 | 연 3% | 5년 분할상환 |
개인회생 성실상환자 | 최대 700만 원 | 연 3% | 5년 분할상환 |
지원 가능한 자금 종류
아래 용도 외에도 다른 용도라고 해도, 가장 먼저 문의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 상담이 최고.
자금용도 | 세부내용 |
---|---|
생활안정자금 | 생계유지, 병원비 등 |
학자금 | 본인 또는 자녀 학자금 |
월 상환 부담은 어느 정도?
이건 실제로 예시표가 있어서 참고하기 좋다. 연 3% 고정금리 기준으로 아래처럼 정리돼 있다.
상환기간 | 300만 원 대출 시 | 500만 원 대출 시 |
---|---|---|
1년 | 254,081원 | 423,468원 |
2년 | 128,943원 | 214,906원 |
3년 | 87,243원 | 145,406원 |
4년 | 66,402원 | 110,671원 |
5년 | 53,906원 | 89,843원 |
신청은 어떻게?
신청은 무조건 상담센터(☎1600-5500) 를 먼저 거쳐야 한다.
바로 신청서를 접수하는 것이 아니라, 요건 확인 → 서류 준비 → 지부 방문 접수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준비할 서류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보통 다음과 같다.
-
주민등록등본
-
채무조정 확인서 또는 변제계획표
-
소득 확인 서류
-
용도에 따른 지출 증빙
심사는 내부 기준 + 자금 용도에 따른 적합성으로 결정되고,
한도와 금리는 신청자별로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마무리 정리
한강론은 이름이 낯설 뿐, 실제로는 꽤 오래전부터 운영되던 공식 제도다.
서울시와 신용회복위원회가 협약을 맺고, 금융소외 청년의 재기를 돕는 구조다.
조건이 맞는 사람이라면 일반 금융보다 훨씬 안정적인 조건으로 필요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일거다.
그런데 역시 40대는 너무 지원받을 수 있는게 없는거 아닐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