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역사랑상품권형으로 신청한 사람이라면 어디서 쓸 수 있는지 알아야 될 텐데.
지역사랑상품권이라는 이름은 익숙하긴 해도, 막상 써보려 하면 내 동네에서 어떤 가게가 가맹점인지 모를 때가 많다.
그래서 이번 글에선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을 찾는 현실적인 방법을 정확하고 빠르게 정리해봤다.
지역별 앱 먼저 확인해보자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마다 운영 방식이 달라서 사용하는 앱도 다르다.
자기 지역에 맞는 앱을 먼저 설치하고, 그 안에 있는 ‘가맹점 찾기’ 메뉴를 활용하면 된다.
지역 | 사용 앱 |
---|---|
서울 | 서울페이플러스 |
경기 | 경기지역화폐 |
인천 | 인천e음 |
대전 | 온통대전 |
부산 | 동백전 |
광주 | 광주상생카드 |
세종 | 여민전 |
전남 | 남도페이 |
경북 | 경북사랑카드 |
경남 | 경남사랑상품권 |
제주 | 제주사랑상품권 |
그 외 시·군 | 제로페이 또는 연동 앱 사용 |
이 앱들엔 대부분 ‘사용처 찾기’, ‘가맹점 안내’, ‘지도 보기’ 기능이 있다.
주소 검색은 물론이고 업종별 필터도 가능해서, ‘치킨’, ‘안경점’, ‘미용실’ 같은 식으로 검색하면 금방 나온다.
제로페이 홈페이지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제로페이 기반으로 운영되는 지역이라면 제로페이 공식 홈페이지가 훨씬 정확하다.
제로페이에 들어가서 ‘가맹점 찾기’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기능 | 설명 |
---|---|
지역 필터 | 시·군·구까지 좁혀서 조회 가능 |
업종 검색 | 음식점, 병원, 편의점, 미용실 등 키워드 가능 |
상품권 필터 | 남도페이, 경북사랑카드 등 선택 가능 |
지도 모드 | 내 위치 기준 지도 보기 제공 |
제로페이는 등록된 가맹점만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상품권별 사용 가능 여부도 한눈에 구분된다.
근데 어떤 사람들한테는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을듯.
오프라인에서 확인
모바일 앱이나 사이트를 쓰기 어려운 사람이라면 오프라인에서도 가맹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입문에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가능’이나 ‘제로페이 가맹점’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계산대 근처 안내판이나 포스터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결제 영수증 상단에 제로페이 마크나 상품권 종류가 적혀 있기도 하다.
단말기 화면에서 지역상품권 결제 항목이 뜨는 경우도 있으니, 결제 직전 화면을 확인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그래도 가장 확실한 건, 결제 전에 한 번 물어보는 거다.
“이거 지역사랑상품권 되나요?” 한마디면 끝임.
대부분 안되는 경우
상황 | 설명 |
---|---|
프랜차이즈 매장 | 가맹점이면 가능하지만, 직영점은 대부분 불가 |
병원·약국·미용실 | 지역에 따라 가맹 등록 여부가 다를 수 있음 |
배달앱 결제 | 앱 내 결제는 안 됨. 매장 방문 후 카드 단말기로 직접 결제해야 가능 |
앱엔 있는데 결제 안 됨 | 단말기 미등록, 상품권 미지원, 매출 초과 등 다양한 이유 가능 |
주소지 외 지역 사용 | 원칙적으로는 불가. 단, 이사 후 전입신고하면 변경 가능 (카드형만 해당) |
앱이나 홈페이지 정보만 보고 무조건 되는 줄 알았다가 현장에서 거절당하는 경우가 있으니까 가장 먼저 "물어보고" 쓰는것을 추천.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