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정리

기준 중위소득표라는 말을 뉴스나 복지정보에서 자주 보게 된다.

그런데 대체 이 숫자가 뭔지, 나랑 무슨 상관이 있는 건지 애매할 때가 많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숫자 하나로 내가 받을 수 있는 각종 정부 혜택이 결정된다.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부터 보건소 감면, 청년 정책까지 전부 기준 중위소득 몇 % 이하인지에 따라서 달라짐.


참고사항

  • 기준 중위소득 = 전국 가구소득의 딱 가운데 값

  • 2025년 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은 2,392,013원

  •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로 발표, 각종 정책의 소득 기준으로 사용

중위소득이란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비율1인 가구2인 가구3인 가구4인 가구5인 가구6인 가구
30%717,6041,179,7971,507,6061,829,3322,132,4582,419,441
40%956,8051,573,0632,010,1412,439,1092,843,2783,225,922
50%1,196,0071,966,3292,512,6773,048,8873,554,0964,032,403
60%1,435,2082,359,5953,015,2123,658,6644,264,9154,838,883
70%1,674,4092,752,8613,517,7474,268,4414,975,7345,645,364
80%1,913,6103,146,1264,020,2824,878,2185,686,5546,451,844
90%2,152,8123,539,3924,522,8185,487,9966,397,3737,258,325
100%2,392,0133,932,6585,025,3536,097,7737,108,1928,064,805
110%2,631,2144,325,9245,527,8886,707,5507,819,0018,871,286
120%2,870,4164,719,1906,030,4247,317,3288,529,8309,677,766
130%3,109,6175,112,4556,532,9597,927,1059,240,65010,484,247
140%3,348,8185,505,7217,035,4948,536,8829,951,46911,290,727
150%3,588,0205,898,9877,538,0309,146,66010,662,28812,097,208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고시 기준

알아두면 좋을 것들

  •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다름
      1인 가구와 3인 가구의 기준이 완전히 다름
      무조건 월소득만 보지 말고, 가구원 수와 함께 봐야 정확함

  • '가구원'이란 단어가 헷갈릴 수 있음
      '같이 사는 사람 수'만으로 정해지는 게 아니라
      부양의무자, 주민등록 기준, 소득 합산 여부까지 포함됨

  • 소득 인정액 기준과 월급 그대로는 다름
      근로소득, 재산, 금융소득 등을 따로 환산해서 계산함
      그래서 단순히 "내 월급 250만 원이니까 100% 안 넘네" 식으로 계산하면 틀릴 수 있음

정부지원제도중에 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면 이걸 보기보다는 복지로에 들어가서 확인하는게 더 낫다.

댓글 쓰기